제주 하우스 클럽

2025년 제주도 건축 분야 주목받는 이슈들

2025년 제주도 건축 분야에서는 다양한 변화와 이슈들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최근 제주도는 환경적, 경제적, 정책적 변화 속에서 건축 및 도시 계획을 새롭게 조정하고 있으며, 이는 제주에서 건축을 계획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제주도 건축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제주도 바다 노을 풍경

1. 에너지·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 확대

제주특별자치도는 건설·건축·주택 분야에 총 2,077억 원을 투자해 에너지 및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건물 부문의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신축 제로에너지건축물(ZEB) 확대, 기존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지원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친환경 건축을 고려하는 건축주들에게 중요한 기회이자 도전 과제가 될 것입니다. 제주도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한 친환경 건축은 언제나 찬성입니다.

2. 고도제한 재조정 논의

제주도는 30년 가까이 유지해온 고도제한을 재조정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현재 ‘제주형 압축도시 조성을 위한 고도관리방안’ 연구를 진행 중이며, 한라산 경관 및 조망환경 보호와 도시 확산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고도 및 밀도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로 인해 건축 계획 및 개발 방향에도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고도제한은 현행 그대로 유지되었으면 하네요.

3. 건축위원회 구성의 편중성 논란

제주특별자치도 건축위원회의 위원 구성이 특정 업계에 편중되었다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위원 중 86%가 건축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업체 관계자로 구성되어 있어, 건축계획 심의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건축 심의 과정에서 보다 투명한 절차와 공정성이 요구되는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4. 지역 건설업계의 어려움

최근 3년간 제주도가 발주한 100억 원 이상 공사에서 지역 건설사의 공동도급 비율이 55%에 불과하며, 하도급 비율에 대한 명확한 집계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역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에서 건축을 계획하는 경우, 지역 건설사와 협업할 때의 조건과 혜택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지속 가능한 건축과 환경보호

제주도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건축 과정에서 환경 보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최근 제주도는 환경 친화적 건축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는 디자인, 재생에너지 활용,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를 고려한 건축 설계가 필수적이며, 장기적으로도 가치 있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 제주도의 건축 분야는 에너지 전환, 정책 변화, 지역 건설업 지원 문제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시기입니다. 제주에서 건축을 계획하는 이들은 이러한 이슈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보다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의 변화에 발맞추어 적절한 전략을 수립한다면, 성공적인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